전체 글 69

Langchain의 모델

템플릿을 활용하는 형태는 다음의 예로 확인해볼 수 있다.from langchain_core.prompts import PromptTemplateinformation="""Carter is..... """summary_template="""내용을 요약해줘"""summary_prompt_template=PromptTemplate(input_variables=["information"], template=summary_template)#PromptTemplate는 명령과 템플릿을 담는다.llm=ChatOpenAI(temperature=0, model_name="gpt-3.5-turbo")chain= summary_prompt_template|llmchain.invoke(input={"information":i..

생성형AI 2024.12.30

LangChain 코드

langchain 샘플 코드- 실행을 위한 파이썬 파일from dotenv import load_dotenv #env파일 api 삽입, .env로 생성한 파일 관련from langchain.prompts.prompt import PromptTemplate #프롬프트템플릿 생성from langchain_openai import ChatOpenAI #openai chat모델from output_parsers import summary_parser #아웃풋 파서from third_parties.linkedin import scrape_linkedin_profile #외부 데이터 유입에 필요from agents.linkedin_lookup_agent import lookup as linkedin_lookup_a..

카테고리 없음 2024.10.29

star-history.com

https://star-history.com/#hwchase17/langchain&CompVis/stable-diffusion&facebookresearch/llama&Date GitHub Star HistoryView and compare GitHub star history graph of open source projects.star-history.comstar-history 닷컴은 깃허브 내 프로젝트별 별 추이를 보는 곳이다. 각기 프로젝트를 입력하면 추이를 관찰할 수 있으며 어떤 프로젝트가 각광을 받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langchain이 stable diffusion을 추월한 상태란 사실을 확인할 ㅜㅅ 있다.

빅데이터 2024.10.18

SciBERT

과학관련 자료에 특화된 BERT  SciBERT : 과학문헌에 특화된 언어모델출처가 앨런AI다 AbstractBERT를 활용하여 만든 SCIBERT로 시퀀스 태깅(사람, 장소 등 레이블링), 문장 분류, 의존구문 분석을 수행했다. 코드는 https://github. com/allenai/scibert/에서 확보 가능하다. VocabularyBert가 WordPiece를 사용했기에 같은 방식으로 활용했다.SentencePiece 라이브러리를 활용해서 WordPiece 사전을 과학문헌과 관련하여 SciVOCAB 형태로 만들어 냈다. 케이스와 언케이스로 30K개를 만들어서 BaseVOCAB와 비교가능한 사이즈로 만들었다. 두 사전에서 공통된 토큰은 42%였다.  CorpusSciBERT를 1.14M개의 논문을..

생성형AI 2024.10.08

FC(Flight Controller), ESC

1. FCFC는 드론의 중앙통제장치 역할을 한다. 크기는 약 30x30~20x20까지 있다. 크기가 작으면 납땜 과정에서 작업이 어려울 수 있다. AIO라고 FC와 ESC가 포함된 경우가 있는데 부품교체가 어려울 수 있다. 고장이 좀 더 많으며 교체 시 비용이 증가한다.FC의 프로세서는 F1~F4까지 있으며 전자보다 후자가 처리속도와 플래시 메모리 용량이 높다. FC내에는 자이로, 가속센서, 자기센서, 기압센서, GNSS가 들어갈 수 있다.IMU라는 관성 측정장치가 포함되기도 하며, 자이로 센서는 회전, 가속센서는 드론의 수평을 잡아준다. 기압센서는 고도를 확인할 수 있으나 GNSS보다 정밀하지 않다. 초음파 센서나 이미지센서 없이는 정확하지 않다. 자기센서는 방위를 확인하는 용도이나 이 역시 GNSS에..

드론 2024.08.01

드론 유형

드론의 사이즈1) 휠베이스로 대각선의 길이에 따른 구분2) 드론 프로펠러 사이즈에 따른 구분 2. 드론의 종류Tiny whoops : 초소형 드론으로 안전하고 충격에 강함 Cine whoops : 충돌에 강하도록 덕트를 강화한 모델Fpv racing drone : 5인치 레이싱용으로 충돌이 잦기에 부품 조립 필요Long-range : 장거리 용 5인치나 7인치까지 있음Cinelifter : 영화 촬영 등에 사용X-class : 레이싱 용으로 사용되나 크기가 크고 위험한 경우가 있음 3. 드론 프레임  드론 프레임은 상판, 중판, 하판과 암으로 구성, 앞쪽은 카메라 마운트, 암의 끝에 모터 마운트, 중간에 FC/ESC 마운트 홀, 끝에 VTX 마운트로 구성된다.

드론 2024.08.01

기상위성 데이터를 살펴보자

NOAA(연방해양대기청) 여기는 쓸만한 자료가 많다. AIS 데이터부터 AIS의 포맷과 해석에 대한 방법 등등거기에 더해 CLASS: Comprehensive Large Array-Data라는데 뭐 대략 대빵큰위성데이터 정도로 해석하면 될까나???여기에 있는 데이터는 AVHRR(Advanced Very High Resolution Radiometer)라고 하는데 기상과 대기, 환경에 대한 위성 측정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위성마다 종류가 다양한데 사용되는 센서들과 측정항목도 차이가 있다.  https://order.class.noaa.gov/public/310670/8418718153/001/ NOAA's Comprehensive Large Array-data Stewardship System orde..

빅데이터 2024.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