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GIS 수치표고모델
DXF, DEM
DXF 국토정보플랫폼에서 다운 받을 수 있다. 수치지도.
수치지도란 위치정보와 공간정보를 디지털화하여 수치화한 전자지도이다.
DEM: digital elevation model 디지털 고도 모델? 수치표고모델이라 부른다한다. 의역이란 이런 맛이구나. 각 셀값들이 표고에 대한 값을 지니고 있다.
DXF로 DEM을 생성하는 과정
GRASS에서 래스터 모델 중에 idx를 선택한다.

추출할 레이어를 선택한다. 선택하지 않으면 처리시간이 오래걸린다. 유동인구 웬만한 시군구 단위 공간연산하면 한두시간씩 돌아가듯 처리시간이 오래걸린다.
리전의 범위도 선택해준다.

아래와 같은 등고선 지도가 표시된다.

attribute에서는 표시가 되지 않으나 이 지도에는 z값(표고)가 포함되어 있다. 표고값을 입력하기 위하여 컬럼을 생성해 준다.

z값을 geometry로 계산한다.

이제 보간법(interpolation)으로 DEM을 생성해보자. 메뉴는 processing tool box에서 찾는다. 픽셀사이즈를 5, 5 정도로 정의해주어야 한다. 그렇게 해도 dem데이터는 55mb정도 사이즈가 된다.

DEM 파일 생성결과

hillshade로 입체화된 화상을 생성할 수 있다.

아래처럼 결과가 출력된다. 등고선과 다르게 사람눈에 지형이 뚜렷하게 보인다. 등산할때 참고하면 좋을 것 같다.
이젠 몸이 무거워져서 등산이 쉽지 않다는게 흠이지만ㅋㅋㅋ
엇그제 다이어트 삼아 작성산에 올랐다. 다이어트를 위해 아침 점심을 굶고 올랐다.
중턱에서 탈진했다.
하늘의 태양이 황천길처럼 노랗게 빚났다.
다이어트하다 죽을 수는 없다고 생각했다. 도로 내려와서 짜장밥을 먹고 되살아 났다.
예전에는 산을 참 많이도 다니고 이리저리 뛰어다녔는데 이젠 늙어서 기운도 없고 망원경 들때도 힘이든다.

hillshade처리 메뉴가 아니더라도 프라퍼티에서 렌더링을 선택해서 처리할 수 있다.

이번에는 특정 레이어 선택을 테스트 해본다. select by feature에서 필드를 선택하고 값을 유니크하게 나열한다음 or 연산자로 선택한다.
마지막으로 우측하단의 select feature를 클릭하면 해당레이어가 선택된다.
